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2003년 일본의 우주 개발 관련 세 기관의 통합으로 설립된 독립 행정 법인이다. JAXA는 로켓 개발, 인공위성 발사, 우주 탐사, 항공 기술 연구 등을 수행하며, 달 탐사선 가구야,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달 착륙선 SLIM 등 다양한 우주 개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JAXA는 일본 내 여러 연구 센터와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며, 일본의 우주 개발 전략 수립 및 실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후시 - 조후비행장
조후비행장은 도쿄도 조후시에 위치한 공항으로, 1941년 개항하여 현재는 도쿄도가 관리·운영하는 커뮤터 공항이며, 과거 군사 기지로 사용되기도 했고, 현재는 이즈 제도 방면 노선을 운항하며 여러 작품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조후시 -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
도이 노부히로 감독이 연출하고 사카모토 유지가 각본을 쓴 영화 《꽃다발 같은 사랑을 했다》는 스다 마사키와 아리무라 카스미 주연으로, 막차를 놓쳐 우연히 만난 남녀가 5년간의 연애를 통해 사랑과 현실의 문제를 겪는 이야기를 그린 2021년 일본 영화이다.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 베피콜롬보
베피콜롬보는 유럽 우주국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수성 탐사 임무로, 3개의 모듈을 활용하여 7년의 비행 끝에 수성 궤도에 진입하여 수성의 기원과 진화 등을 연구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할 예정이다.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는 일본 가고시마현에 위치한 로켓 발사 기지이며, 요시노부, 오사키, 다케사키 발사장 등 여러 시설을 갖추고 대형, 중형, 소형 로켓 발사를 수행하며, 일반인을 위한 시설도 운영한다. - 일본의 우주 개발 - 정보통신연구기구
정보통신연구기구는 일본의 정보 통신 분야를 연구하는 국립연구개발법인으로, 전자기파, 네트워크,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주파수 표준 설정, 일본표준시 발표 등의 국가 서비스 사업을 수행한다. - 일본의 우주 개발 - 우주작전군
일본 항공자위대가 우주 영역 작전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자 2022년 3월 창설한 우주작전군은 인공위성 감시와 우주 쓰레기 탐지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우주 상황 감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 [우주센터]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국립연구개발법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
로마자 표기 | Kokuritsu-kenkyū-kaihatsu-hōjin Uchū Kōkū Kenkyū Kaihatsu Kikō |
영어 명칭 |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
약칭 | JAXA (자쿠사) |
모토 | One JAXA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소유주 | 문부과학성 |
관할 | 일본 정부 |
이전 기관 | ISAS NAL NASDA |
본부 위치 | 조후시, 도쿄도, 일본 |
우주 기지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관리자 | 야마카와 히로시 |
직원 수 | 1,588명 (2022년 4월 1일 기준) |
재정 | |
예산 | 2,155억 엔 (2023년) (14.6억 미국 달러) |
연혁 | |
설립일 | 2003년 10월 1일 |
2. 역사
2003년 이전까지 일본의 우주 개발은 문부과학성 산하의 우주과학연구소(ISAS),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 우주개발사업단(NASDA) 세 기관이 나누어 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7년간 우주 개발이 금지되었으나, 1955년 로켓 발사 실험 성공을 계기로 다시 시작되었다. 일본은 1970년대와 1980년대부터 미국 NASA와의 공동 개발 등을 통해 꾸준히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며 동아시아의 우주 과학 분야에서 앞서 나갔다.[141] 이러한 배경에는 장기적인 전략 수립과 정치적 문제로부터 비교적 독립적인 연구 환경이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2003년 10월 1일, 이 세 기관이 통합되어 독립 행정 법인인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공식 출범했다. JAXA는 문부과학성(MEXT)과 총무성(MIC)의 관리를 받으며, 본부는 도쿄도 조후시의 구 항공우주기술연구소 부지에 자리 잡았다. 통합 이전 ISAS는 외우주 및 행성 연구, 특히 X선 천문학 분야에서 성과를 냈으며, NAL은 항공 연구에 집중했다. NASDA는 로켓과 인공위성 개발,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키보' 모듈 건설, 우주 비행사 훈련 등을 담당했다.
2008년에는 우주 기본법이 제정되어 JAXA의 관할권이 문부과학성에서 내각 직속의 우주 개발 전략 본부(SHSD)로 이관되었다. 이는 일본의 우주 개발 정책 결정 구조에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같은 해 JAXA는 우주 재단으로부터 존 L. "잭" 스위거트 주니어 우주 탐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12년에는 새로운 법률 개정을 통해 JAXA의 임무 범위가 기존의 평화적 목적 외에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과 같은 일부 군사적 우주 개발까지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JAXA에 대한 정치적 통제권도 문부과학성에서 총리 직속 내각부 산하의 우주 전략 사무소로 이관되어, 일본의 우주 개발 정책 방향에 중요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2. 1. 통합 이전
2003년 10월 1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설립되기 이전, 일본의 우주 개발은 주로 세 개의 기관이 나누어 담당했다. 이 기관들은 문부과학성 산하의 우주과학연구소(ISAS),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 그리고 우주개발사업단(NASDA)이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은 7년 동안 우주 개발이 금지되었으나, 1955년 로켓 발사 실험에 성공하며 우주 개발을 재개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부터 일본은 미국 NASA와의 공동 개발 등을 통해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며 동아시아에서 우주 과학 분야를 선도하기 시작했다.[141]
각 기관의 역할은 다음과 같았다.
- '''우주과학연구소 (ISAS)''': 외우주 및 행성 연구를 주로 담당했다. 특히 1980년대와 1990년대 X선 천문학 분야에서 성공적인 우주 프로그램을 수행했으며, HALCA 임무를 통한 초장기선 간섭계(VLBI) 연구, 태양 관측 및 자기권 연구 등에서도 성과를 거두었다. ISAS는 주로 소형 고체 연료 로켓인 뮤 로켓 시리즈를 운용했다. 1970년 일본 최초의 인공위성인 오스미를 L-4S 로켓으로 발사한 것도 ISAS였다.[1]
- '''항공우주기술연구소 (NAL)''': 항공 기술 연구에 집중했다.
- '''우주개발사업단 (NASDA)''': 1969년 10월 1일 설립되어 로켓과 인공위성 개발을 담당했다. 규슈 남쪽 다네가시마 섬의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를 운영하며, 주로 통신 위성 기술과 지구 기후 관측 위성 개발에 주력했다. 또한,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일본 실험 모듈('키보') 건설과 미국 우주 왕복선 탑승 우주 비행사 훈련도 담당했다. NASDA는 초기에는 미국의 로켓 모델을 면허 생산하여 사용했으나, 점차 자체 기술 개발에 힘썼다.[1] 1994년에는 일본 최초의 자체 개발 대형 액체 연료 발사체인 H-II를 도입했다. H-II는 자체 기술로 위성을 발사하고 발사 능력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단 엔진 LE-7에는 단계식 연소 사이클 기술이 적용되었다. 액체 수소를 사용하는 1단 엔진과 고체 로켓 부스터의 조합은 이후 일본 대형 로켓의 기본 구성이 되었다.[10]

이 세 기관은 각자의 영역에서 연구 개발을 진행했으나, 효율성 증대와 역량 결집을 위해 2003년 JAXA로 통합되었다.
2. 2. 통합 이후
2003년 10월 1일, 일본의 우주 개발 관련 세 기관인 우주과학연구소(ISAS),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 우주개발사업단(NASDA)이 통합되어 독립 행정 법인인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출범했다. 본부는 도쿄도 조후시의 구 항공우주기술연구소 본부에 위치하며, 문부과학성(MEXT)과 총무성(MIC)의 관리를 받는다. JAXA는 박사 과정만을 담당하는 종합연구대학원 대학에도 참여하고 있다. 통합 이전 ISAS는 우주 및 행성 연구, NAL은 항공 연구, NASDA는 로켓과 인공위성 개발 및 일본 실험 모듈 건설 등을 담당했다. 특히 ISAS는 X선 천문학과 초장기선 간섭계(VLBI) 분야에서, NASDA는 통신 위성 기술과 지구 기후 관측, 우주 비행사 훈련 등에서 성과를 냈다.JAXA는 출범 직후 시련을 겪었다. 통합 직후 발사한 H-IIA 로켓 6호기는 상승 중 문제가 발생하여 지상 명령으로 폭파되었고, 우주과학연구소 시절 발사했던 화성 탐사선 노조미의 화성 궤도 진입에도 실패했다.[75]
그러나 이후 여러 성과를 거두며 일본의 우주 개발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시작했다.
- 2005년: 2월 H-IIA 로켓 7호기로 다목적 수송 위성 히마와리 6호의 궤도 투입에 성공했고, 7월에는 M-V 로켓으로 X선 천문 위성 스자쿠 발사에 성공했다. 일본은 X선 천문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76] 10월에는 소형 초음속 실험기 NEXST-1의 비행 실험에도 성공했다.
- 2006년: 1월부터 2월 사이 한 달 동안 로켓 3기를 연속 발사했다. 육역 관측 기술 위성 다이치(ALOS)는 재해 감시에, 적외선 천문 위성 아카리(ASTRO-F)는 우주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히마와리 7호는 1990년 미국과의 위성 조달 협정 이후 처음으로 성공한 국산 상업 위성이었다. 같은 해 태양 관측 위성 히노데(SOLAR-B)도 발사되었다.[77]
- 2007년: 9월 달 탐사선 가구야(SELENE)를 발사하여 달 표면의 고해상도 영상 전송 등 아폴로 계획 이후 최대 규모의 달 탐사를 성공시켰다.[78]
- 2008년: 우주 기본법이 통과되어 JAXA의 관할권이 문부과학성에서 내각의 우주 개발 전략 본부(SHSD)로 이관되었다. 또한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키보 운용이 시작되었다. JAXA는 이 해에 우주 재단의 존 L. "잭" 스위거트 주니어 우주 탐사상을 수상했다.
- 2009년: H-IIB 로켓 첫 발사와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HTV) 고우노토리 1호기를 이용한 ISS 물자 수송에 성공했다.
- 2010년: 2003년 발사했던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가 지구로 귀환하여 세계 최초로 소행성 샘플 리턴에 성공했다. 같은 해 발사된 IKAROS는 세계 최초로 우주 공간에서 태양 돛 항행에 성공했다. 이 두 성과는 기네스 북에도 등재되었다.[79][80] 행성간 임무 계획과 실제 사건 사이의 시간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AXA는 이 해부터 더 작고 빠른 임무를 시작했다.
- 2012년: 새로운 법률 개정으로 JAXA의 활동 범위가 평화적 목적 외에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과 같은 일부 군사적 우주 개발까지 확대되었다. 정치적 통제권도 문부과학성에서 총리 직속 내각부의 우주 전략실로 이관되었다.
- 2013년: 저비용화를 목표로 한 고체 연료 로켓 엡실론 로켓 시험기 발사에 성공했다. 또한 H-IIB 로켓 발사 업무의 대부분이 미쓰비시 중공업으로 이관되었다. (H-IIA는 2007년 이관)
- 2015년: 11월, 고도화된 H-IIA 로켓을 이용하여 캐나다의 통신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일본 최초의 순수 상업 발사를 기록했다.[81] 12월에는 2010년 발사했던 금성 탐사선 아카츠키를 금성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하며, 일본 최초로 지구 외 행성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82]
- 2016년: 국가 우주 정책 사무국(NSPS)이 내각에 의해 설립되었다.
- 2018년: 2월 SS-520 로켓 5호기로 초소형 위성 TRICOM-1R 발사에 성공하여, 실제 인공위성을 발사한 로켓 중 가장 작은 로켓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인정받았다.[83]
- 2019년: 초저고도 위성 기술 시험기 츠바메(SLATS)가 지구 관측 위성 궤도로는 가장 낮은 고도인 167.4km 비행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인정받았다.[84]
- 2020년: 5월 H-IIB 로켓 9호기 발사를 마지막으로 H-IIB 로켓 운용이 종료되었고, 8월에는 해당 로켓으로 발사된 고우노토리 9호기(HTV-9)가 임무를 마치고 대기권에 재진입하며 HTV 계획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또한 토요타 자동차와 공동 개발 중인 유인 달 탐사 차량의 이름을 루나 크루저로 결정했다. 12월에는 2014년 발사된 하야부사 2의 샘플 캡슐이 지구로 귀환했다.
- 2024년: 1월, 2023년 9월 발사된 달 착륙 실증기 SLIM이 목표 지점에서 오차 55m 이내의 정밀 착륙에 성공하여 세계 최초 '핀포인트' 달 착륙을 달성했다. 이로써 일본은 세계 5번째 달 착륙 국가가 되었다.[85] 2월 17일에는 H3 로켓 시험 2호기 발사에 성공하며, 1994년 H-II 로켓 이후 30년 만에 완전 신규 설계된 대형 액체 연료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86]
JAXA는 유인 우주 비행 사업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NASDA 시절부터 미국의 우주왕복선이나 러시아의 소유스를 이용해 우주 비행사를 파견하고 있다.
3. 로켓 개발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이전 우주 개발 사업단(NASDA) 시절부터 사용해 온 H-IIA 로켓을 중형 발사체로 운용하고 있다. 또한, JAXA는 새로운 중형 발사체인 H3를 개발하여 운용을 시작했다. 더 작은 규모의 발사가 필요할 때는 엡실론 로켓을 사용하며, 상층 대기 연구를 위해서는 SS-520, S-520, S-310과 같은 사운딩 로켓을 활용한다.
과거 JAXA가 운용했던 궤도 진입용 로켓으로는 뮤 로켓 계열(M-V)과 H-IIB가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했다.
일본 최초의 인공위성인 오스미는 1970년, JAXA의 전신 중 하나인 우주과학연구소(ISAS)가 개발한 L-4S 로켓에 의해 발사되었다. 통합 이전, ISAS는 주로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소형 뮤 로켓 시리즈를 개발했고, NASDA는 더 큰 규모의 액체 연료 로켓 개발에 집중했다. 초기 NASDA는 미국의 로켓 모델을 면허 생산하는 방식으로 기술을 확보했다.[1]
일본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은 1994년에 도입된 H-II이다. NASDA는 H-II 개발을 통해 두 가지 주요 목표를 추구했다. 첫째는 ISAS처럼 외부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능력으로 위성을 발사하는 것이었고, 둘째는 이전의 면허 생산 모델보다 발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단 엔진인 LE-7에는 고성능이지만 개발 난이도가 높은 단계식 연소 사이클 기술이 적용되었다. 액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2단 연소 사이클 1단 엔진과 고체 로켓 부스터를 결합한 이 기본 구성은 이후 H-IIA와 H-IIB로 이어지며, 1994년부터 2024년까지 30년간 일본 액체 연료 로켓의 핵심 설계 사상이 되었다.[10]
2003년, 일본 내 여러 우주 개발 기관(ISAS, NAL, NASDA)이 통합되어 JAXA가 출범했다. JAXA는 NASDA로부터 H-IIA 액체 연료 로켓의 운영을, ISAS로부터 M-V 고체 연료 로켓 및 다수의 관측 로켓 운영을 넘겨받았다. H-IIA는 H-II를 기반으로 신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한 개량형 발사체였으며, M-V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고체 연료 로켓 중 하나였다.[1]
JAXA 출범 직후인 2003년 11월, H-IIA 6호기 발사가 실패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이후 발사는 대부분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2024년 2월 기준으로 H-IIA는 총 48번의 발사 중 47번을 성공시키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JAXA는 H-IIA 50호기 발사를 마지막으로 2025년 3월까지 H-IIA의 운용을 종료하고 퇴역시킬 계획이다.[11]
또한 JAXA는 2009년 9월부터 2020년 5월까지 H-IIA의 성능 강화 버전인 H-IIB 로켓을 운용했다. H-IIB는 총 9번 발사되어 모두 성공했으며, 주로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일본 실험 모듈 키보에 보급품을 전달하는 H-II 수송선(HTV) 발사에 사용됐다.[12]
소규모 임무 수행을 위해 JAXA는 퇴역한 M-V 로켓을 대체할 새로운 고체 연료 로켓인 엡실론을 개발했다. 엡실론 로켓은 2013년 첫 시험 발사에 성공했으며, 이후 총 6번의 발사가 이루어졌으나 2022년 10월 6호기 발사는 실패했다.
JAXA는 사운딩 로켓인 SS-520 로켓을 개조하여 초소형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시도도 했다. 2017년 1월 첫 시도는 실패했으나,[13] 2018년 2월 2일 두 번째 시도(SS-520 5호기)에서는 4kg급 큐브위성 TRICOM-1R을 성공적으로 지구 궤도에 진입시켰다. 이 로켓은 현재까지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린 가장 작은 발사체로 기록됐다.[14][83]
2023년부터 JAXA는 H-IIA와 H-IIB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차세대 주력 로켓 H3의 운용을 시작했다. H3는 H-IIA/B와 같은 개량형이 아닌, H-II처럼 완전히 새롭게 설계된 액체 연료 발사체이다. H3 개발의 주요 목표는 H-IIA/B보다 낮은 비용으로 더 높은 발사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단 엔진에는 세계 최초로 익스팬더 블리드 사이클 기술이 적용되었다.[15][16][17] H3 로켓은 2023년 3월 첫 시험 발사에서 2단 엔진 점화 실패로 임무에 실패했으나[90] 2024년 2월 17일 두 번째 시험 발사에서는 성공적으로 위성을 궤도에 투입하며 1994년 H-II 로켓 이후 30년 만에 완전 신규 설계 대형 액체 연료 로켓 발사 성공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86]
로켓 발사 업무는 점차 민간 기업으로 이관되는 추세이다. 2007년 H-IIA, 2013년 H-IIB의 발사 업무 대부분이 미쓰비시 중공업으로 이관되었으며, JAXA는 발사 안전 관리 업무 등을 담당한다. 2015년 11월에는 H-IIA 로켓을 이용해 캐나다의 통신 위성 텔스타 12 밴티지를 발사하며 일본 최초의 순수 상업 발사 성공 기록을 세웠다.[81]
4. 우주 탐사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일본 실험 모듈인 키보와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 HTV를 운용하며 ISS 계획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달 탐사, 소행성 탐사, 행성 탐사를 비롯하여 태양 관측 위성, X선 천문 위성, 적외선 천문 위성, 통신 위성, 기상 위성, 지구 관측 위성 등 다양한 목적의 인공위성과 탐사기를 개발하고 발사하며 활발한 우주 탐사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JAXA는 우주 탐사 분야에서 여러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2010년 하야부사 탐사선은 세계 최초로 달 이외 천체(소행성 25143 이토카와)의 물질을 지구로 가져오는 데 성공했으며,[19][79] 같은 해 IKAROS는 세계 최초로 태양 돛 추진 기술을 우주 공간에서 성공적으로 시연했다.[80] 2024년에는 SLIM이 달 표면에 연착륙하여 일본은 세계 5번째 달 착륙 국가가 되었고, 목표 지점 55m 이내에 착륙하는 '핀포인트 착륙'을 달성했다.[142][24][85]
과학 연구 분야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일본이 강점을 보이는 X선 천문학 분야에서는 스자쿠 위성 등이 활약했으며,[76] 아카리 위성은 적외선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히노데 위성은 태양 관측에서 중요한 발견을 하여 사이언스지에 특집호가 게재되기도 했다.[77] 지구 관측 분야에서는 육역 관측 위성 다이치가 재해 감시에 활용되었고, 미국 NASA 등과 공동 개발한 GPM(전지구 실시간 강수 관측) 프로젝트의 핵심 위성에 탑재된 듀얼밴드 레이다는 JAXA가 개발했다. 또한, 츠바메 위성은 지구 관측 위성으로는 가장 낮은 고도인 167.4km 비행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인정받았다.[84]
JAXA는 자체 개발한 H-IIA 로켓, H-IIB 로켓, 엡실론 로켓 등 다양한 발사체를 운용하고 있으며, 차세대 주력 로켓인 H3 로켓 개발에도 성공했다.[86] 발사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과 함께, 미쓰비시 중공업으로의 발사 업무 이관을 통해 상업 위성 발사 시장에도 진출하여 2015년 첫 상업 발사를 성공시켰다.[81] SS-520 로켓은 인공위성을 발사한 가장 작은 로켓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83] 또한, 세계 최초의 우주 쓰레기 청소 위성 기술 실증을 목표로 하는 STARS-II 위성을 개발하기도 했다.
JAXA는 우주과학연구소(ISAS), 일본 국립 항공 우주 연구소(NAL), 일본 우주 개발 사업단(NASDA) 세 기관이 2003년 통합되어 설립된 독립 행정 법인이다. 설립 초기에는 문부과학성과 총무성의 관리를 받았으나, 2008년 우주기본법 제정 이후 내각의 우주개발전략본부(현 내각부 우주개발전략추진사무국)로 관할이 변경되었다. 2012년에는 관련 법 개정을 통해 JAXA의 활동 범위가 평화적 목적 외에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과 같은 일부 군사적 우주 개발까지 확대되었다. JAXA는 우주왕복선과 소유스 우주선을 이용한 유인 우주 비행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JAXA는 다양한 미래 임무를 계획하고 있으며, 주요 발사 일정은 다음과 같다.[91]
발사 연도 | 발사체 | 주요 탑재체 (임무) |
---|---|---|
2024년도 | H3 로켓 | 준천정 위성 시스템 6호기 |
2025년도 | H-IIA 로켓 | 온실 효과 가스·수순환 관측 기술 위성 GOSAT-GW |
H3 로켓 | 30 형태 시험기 | |
H3 로켓 | 신형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 (HTV-X) 1호기 | |
H3 로켓 | 준천정 위성 시스템 5호기 | |
H3 로켓 | 준천정 위성 시스템 7호기 | |
2026년도 | H3 로켓 | HTV-X 2호기 |
H3 로켓 | MMX (화성 위성 탐사 계획) | |
H3 로켓 | 달 극역 탐사기 LUPEX | |
H3 로켓 | HTV-X 3호기 | |
H3 로켓 | SDA 위성 |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광학 다양화 1호기 | |
2027년도 | H3 로켓 | HTV-X 4호기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광학 9호기 |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광학 다양화 2호기 | |
H3 로켓 | MBR Explorer (UAE 소행성 탐사 미션) | |
H3 로켓 | HTV-X 5호기 | |
2028년도 | H3 로켓 | DESTINY+ (심우주 탐사 기술 실증기) |
엡실론 S 로켓 | Solar-C_EUVST (고감도 태양 자외선 분광 관측 위성) | |
H3 로켓 | 해바라기 10호기 | |
2028년도 이후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레이다 다양화 1호기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레이다 다양화 2호기 (2029년도) | |
2030년도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광학 10호기 |
2031년도 | H3 로켓 | 준천정 위성 시스템 3호기 후계 |
H3 로켓 | 준천정 위성 시스템 8호기 |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레이다 9호기 | |
2031년도 이후 | 엡실론 S 로켓 | JASMINE (적외선 위치 천문 위성) |
2032년도 | H3 로켓 | LiteBIRD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편광 관측 위성) |
2033년도 이후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레이다 10호기 |
H3 로켓 | 정보 수집 위성 다양화 후계기 | |
미정 | 엡실론 S 로켓 | LOTUSAT1 (베트남 제공 ASNARO-2 동형기) |
엡실론 S 로켓 | 혁신적 위성 기술 실증 4호기 | |
엡실론 S 로켓 | 혁신적 위성 기술 실증 5호기 | |
엡실론 S 로켓 | 혁신적 위성 기술 실증 6호기 | |
엡실론 S 로켓 | 혁신적 위성 기술 실증 8호기 | |
엡실론 S 로켓 | 혁신적 위성 기술 실증 7호기 | |
H3 로켓 | 기술 시험 위성 9호기 | |
미정 | GREX-PLUS (차세대 적외선 천문 위성, 2030년대 목표) |
또한 토요타 자동차와 유인 달 표면 탐사차 루나 크루저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
4. 1. 달 및 행성 탐사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전신인 우주과학연구소(ISAS), 일본 국립 항공 우주 연구소(NAL), 일본 우주 개발 사업단(NASDA) 시절부터 달과 행성 탐사에 참여해왔다. ISAS는 주로 외우주 및 행성 연구를 담당했으며, X선 천문학과 초장기선 간섭계(VLBI)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었다.일본 최초의 지구 궤도 밖 탐사 임무는 1985년 핼리 혜성 관측을 위해 발사된 사키가케 (MS-T5)와 스이세이 (PLANET-A)였다. 미래 임무 준비를 위해, ISAS는 1990년 달 탐사선 히텐을 발사하여 지구 스윙바이 궤도를 시험했다. 일본 최초의 행성간 탐사 임무는 1998년에 발사된 화성 궤도선 노조미 (PLANET-B)였으나, 2003년 화성 도착 과정에서 기기 고장으로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다.

2003년 5월 9일,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송골매라는 뜻)가 M-V 로켓으로 발사되었다. 근지구 소행성 25143 이토카와에서 샘플을 채취하는 것을 목표로 한 이 탐사선은 2005년 9월 소행성에 도착하여 착륙에 성공했다. 여러 어려움 끝에 2010년 6월 13일, 미량의 소행성 물질 샘플을 가지고 지구로 귀환하여 세계 최초로 달 이외 천체의 물질을 지구로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19] 이 성과로 하야부사는 기네스 북에 등재되었다.[79]
하야부사의 후속 탐사선인 하야부사 2는 2014년에 발사되어 소행성 162173 류구 탐사에 나섰다. 하야부사 2는 선대 탐사선과 달리 충돌 장치를 이용해 소행성 표면 아래 물질까지 채취하는 등 더욱 발전된 탐사를 수행했으며, 2020년 성공적으로 샘플을 지구로 가져왔다.[19]

달 탐사 분야에서는 1990년 히텐 이후, 달 지표면에 탐사 장비를 박아 넣는 방식의 LUNAR-A 임무가 계획되었으나 기술적 문제로 2007년 1월 취소되었다. 2007년 9월 14일, JAXA는 H-2A 로켓으로 달 궤도 탐사선 가구야(Kaguya)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아폴로 계획 이후 최대 규모의 달 탐사 임무로 평가받는 가구야는 달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고해상도(HD) 영상을 전송하는 등 많은 성과를 남기고 2009년 6월 10일 달 표면에 충돌하며 임무를 종료했다.[20][21][78]

2023년 9월에는 첫 번째 달 표면 임무인 SLIM (Smart Lander for Investigating Moon, 달 탐사 스마트 착륙선)이 발사되었다. 2024년 1월 19일 15:20 (UTC) (1월 20일 JST)에 성공적으로 연착륙하여 일본은 5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한 국가가 되었다.[142][22][23][85] SLIM의 주요 목표는 목표 지점에서 100m 이내에 착륙하는 것이었으며, 실제로는 목표 지점에서 55m 떨어진 곳에 착륙하여 JAXA는 이를 세계 최초의 성공적인 "핀포인트 착륙"이라고 발표했다.[24] 착륙 직후 탐사선의 자세 문제로 태양 전지판이 서쪽을 향해 태양광 발전이 어려웠으나,[25] 이후 태양광 조건이 개선되면서 1월 29일 다시 작동을 시작했다.[26][30] SLIM은 -120°C에 달하는 혹독한 달 밤의 저온 환경을 견디고 2024년 2월 25일 통신에 성공하는 등 임무를 이어가고 있다.[31] SLIM은 착륙 직전 두 대의 소형 로버 LEV-1과 LEV-2를 성공적으로 분리했으며, 이 로버들은 달 표면에서 활동하며 데이터를 전송했다.[26][27]
행성 탐사 분야에서는 2010년 5월 20일, 금성 기후 탐사선 아카츠키 (PLANET-C)와 태양 돛 실증기 IKAROS가 H-2A 로켓으로 함께 발사되었다. IKAROS는 같은 해 7월 세계 최초로 우주 공간에서 태양 돛 추진에 성공하여 기네스 북에 등재되었다.[80] 아카츠키는 2010년 12월 첫 금성 궤도 진입 시도에는 실패했으나, 5년 후인 2015년 12월 7일 재시도 끝에 성공적으로 금성 궤도에 진입했다. 이는 일본 최초의 다른 행성 궤도 진입 성공 사례로,[82] 아카츠키는 금성 대기의 초회전 현상 등을 연구하고 있다.
JAXA는 유럽 우주국(ESA)과의 국제 협력에도 참여하고 있다. 수성 탐사 임무인 베피콜롬보에 참여하고 있으며, ESA가 주도하는 JUICE (Jupiter Icy Moon Explorer) 임무에도 장비 개발 및 제공 형태로 기여하고 있다. 과거 독자적인 목성 탐사선 JMO (Jupiter Magnetospheric Orbiter)를 구상하기도 했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JAXA는 화성 시스템으로 향하는 새로운 우주선 임무를 검토하고 있다. 이는 포보스로 가는 샘플 반환 임무로, MMX (Martian Moons Explorer)라고 불린다.[32][33] 2015년 6월 9일에 처음 공개된 MMX의 주요 목표는 화성 위성의 기원을 밝히는 것이다.[34] 포보스에서 샘플을 수집하는 것과 함께, MMX는 데이모스를 원격 감지하고 화성의 대기도 관측할 예정이다.[35] 2023년 12월 기준, MMX는 2026 회계 연도에 발사될 예정이다.[36][91] 또한, 심우주 탐사 기술 실증기인 DESTINY+는 2028년 발사될 예정이다.[91]
'''주요 달 및 행성 탐사 임무 현황'''[18]
- '''현재 임무:''' 아카츠키 (PLANET-C), IKAROS, ''하야부사 2'', 베피콜롬보 (ESA 협력), SLIM
- '''개발 중:''' MMX, DESTINY+
- '''퇴역:''' 사키가케, 스이세이, 히텐, 노조미 (PLANET-B), 가구야, 하야부사 (MUSES-C), LEV-1, LEV-2 (SLIM 탑재 로버)
- '''취소:''' LUNAR-A
4. 2. 태양 돛 연구

ISAS(현 JAXA의 전신 중 하나)는 2004년 8월 9일, 사운딩 로켓을 이용해 두 종류의 시제품 태양 돛을 성공적으로 펼치는 실험을 진행했다. 클로버 모양의 돛은 고도 122km에서, 부채 모양의 돛은 고도 169km에서 각각 전개되었다. 두 돛 모두 7.5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얇은 필름으로 제작되었다.
ISAS는 2006년 2월 22일 아카리(ASTRO-F) 위성의 보조 탑재물로 태양 돛을 다시 시험했으나, 완전히 펼치는 데는 실패했다. 같은 해 9월 23일에는 히노데(SOLAR-B) 발사 시에도 보조 탑재물로 태양 돛을 시험했지만, 발사 후 탐사선과의 통신이 두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본격적인 태양 돛 탐사선인 IKAROS는 2010년 5월에 발사되어 같은 해 7월, 행성간 공간에서 태양 돛 기술을 성공적으로 시연했다. 이를 통해 IKAROS는 세계 최초로 행성간 공간에서 태양 돛 기술을 실제로 증명한 우주선이 되었다. 이 성공은 하야부사의 소행성 표본 채취 성공과 더불어 기네스 북에 등재되는 성과를 거두었다.[79][80] JAXA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2020년대 이후 목성을 향한 태양 돛 탐사 임무를 목표로 하고 있다.[37]
5. 천문학 프로그램
일본의 첫 천문학 임무는 1979년에 발사된 X선 위성 하쿠초(CORSA-b)였다. 이후 ISAS는 태양 관측, 우주 VLBI를 통한 전파 천문학 및 적외선 천문학 분야로 연구를 확장했다. 특히 합병 전 ISAS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X선 천문학 분야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76], 이는 JAXA로 이어진 일본 우주 과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또한 HALCA 임무를 통한 초장기선 간섭계 (VLBI) 분야에서도 성과를 거두었다.
'''주요 천문학 분야 및 임무'''
- '''X선 천문학:''' 히노토리(ASTRO-A)를 시작으로, 2005년 M-V 로켓으로 발사된 스자쿠(ASTRO-EII) 등이 임무를 수행했다. ASTRO-E는 발사에 실패했으며, ASTRO-H는 임무 초기 문제가 발생하여 퇴역했다. 현재는 ISS에 설치된 MAXI와 ASTRO-H의 후속 임무인 XRISM이 활동 중이다.
- '''태양 관측:''' 1980년대 초 히노토리(ASTRO-A)로 시작되었다. 이후 요코(SOLAR-A)를 거쳐, 2006년에는 일본, 미국, 영국이 공동으로 개발한 후속기 히노데(SOLAR-B)가 발사되어[41][42]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히노데의 성과는 2007년 사이언스지에 특집으로 다뤄지기도 했다[77]. 후속 임무인 SOLAR-C는 2020년대 발사를 목표로 계획 중이며, H-IIA 로켓으로 발사될 가능성이 있다.
- '''전파 천문학 (VLBI):''' 1997년 세계 최초의 우주 VLBI 전용 위성인 HALCA(MUSES-B)를 발사하여 국제 협력을 통해 지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003년까지 관측을 수행했으며, 위성은 2005년 말 퇴역했다. 후속 임무로 ASTRO-G가 2006년 예산을 지원받아 계획되었으나 2011년 취소되었다.
- '''적외선 천문학:''' 2006년 발사된 아카리(ASTRO-F)는 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관측하며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퇴역했다.
- '''기타:''' 현재 SPRINT-A(행성 분광 관측 위성), CALET(고에너지 전자, 감마선 관측) 등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천문학 임무 목록'''
상태 | 임무명 | 주요 분야 | 비고 |
---|---|---|---|
현재 | 히노데 (SOLAR-B) | 태양 관측 | |
현재 | MAXI | X선 천문학 | ISS 탑재 |
현재 | SPRINT-A | 행성 분광 관측 (자외선) | |
현재 | CALET | 고에너지 우주선/감마선 | ISS 탑재 |
현재 | XRISM | X선 천문학 | ASTRO-H 후속 |
개발 중 | SOLAR-C | 태양 관측 | 2020년대 발사 목표 |
퇴역 | HALCA (MUSES-B) | 전파 천문학 (VLBI) | 1997년 발사, 2005년 퇴역 |
퇴역 | 아카리 (ASTRO-F) | 적외선 천문학 | 2006년 발사 |
퇴역 | 스자쿠 (ASTRO-EII) | X선 천문학 | 2005년 발사 |
퇴역 | ASTRO-H | X선 천문학 | 2016년 발사 후 임무 조기 종료 |
실패 | ASTRO-E | X선 천문학 | 발사 실패 |
취소 | ASTRO-G | 전파 천문학 (VLBI) | 2011년 취소 |
6. 통신, 위치 측정 및 기술 시험
구 NASDA 시절부터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주로 통신 분야에서 새로운 우주 기술을 시험하는 것이었다. 첫 시험 위성은 1975년에 발사된 ETS-I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동안 NASDA는 ETS-VI 및 COMETS 임무와 관련된 문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통신 기술 시험은 정보통신연구기구(NICT)와의 협력 하에 JAXA의 주요 임무 중 하나로 계속되고 있다.
2005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의 드네프르 로켓에 실려 JAXA는 실험 위성 키라리와 레이메이(INDEX)를 발사했다. OICETS는 약 40000km 떨어진 유럽 우주국(ESA)의 아르테미스 위성과의 광학 통신 링크를 시험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 실험은 12월 9일 링크가 성공적으로 연결되면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2006년 3월, JAXA는 OICETS를 통해 저궤도 위성과 일본의 지상국 간의 세계 최초 광학 통신 링크를 구축했으며, 2006년 6월에는 독일의 이동 기지국과도 연결에 성공했다. 레이메이(INDEX)는 다양한 장비 테스트를 위한 70kg의 소형 위성이며, 오로라 관측 임무도 수행한다. 레이메이 위성은 현재 임무 연장 단계에 있다.
일본의 통신 기술 향상을 위해 일본 정부는 ETS-VIII 및 WINDS 임무와 함께 i-Space 계획을 시작했다.[44] 키쿠 8호(ETS-VIII)는 2006년 12월 18일에 발사되었다. 이 위성의 목적은 두 개의 매우 큰 안테나와 원자 시계 테스트를 통해 통신 장비를 시험하는 것이었다. 12월 26일, 두 안테나가 모두 성공적으로 배치되었다. 이는 JAXA가 10월 14일에 유럽의 아리안 5 로켓으로 발사된 LDREX-2 미션을 통해 배포 메커니즘을 미리 테스트했기 때문에 예상된 결과였다. 테스트는 성공적이었다.
2008년 2월 23일, JAXA는 "키즈나"라고도 불리는 광대역 상호 연결 엔지니어링 테스트 및 데모 위성(WINDS)을 발사했다. WINDS는 더 빠른 위성 인터넷 연결을 실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H-IIA 발사체 14를 사용하여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발사가 이루어졌다.[45] WINDS는 2019년 2월 27일에 임무를 종료했다.[46]
2010년 9월 11일, JAXA는 준천정 위성 시스템(QZSS)의 첫 번째 위성인 QZS-1(미치비키-1)을 발사했는데, 이는 미국의 GPS를 보완하는 지역 위성 항법 시스템이다. 2017년에 3개의 위성(QZS-2, QZS-3, QZS-4)이 추가로 발사되었으며, QZS-1의 교체 위성인 QZS-1R은 2021년 10월 26일에 발사되었다. GPS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차세대 위성 3개 세트가 2023년에 발사될 예정이다.
초저고도 위성 기술 시험기 쓰바메(SLATS)는 2017년 12월 23일 발사되어, 2019년 10월 1일까지 운용되었다. 이 위성은 지구 관측 위성으로서 가장 낮은 고도인 167.4km를 비행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인정받았다.[84]
2018년 2월, JAXA는 2018년 말 키보 모듈에서 레이저 통신 시스템을 시험하기 위해 소니와 연구 협력을 발표했다.[43]
다음은 통신, 위치 측정 및 기술 시험 관련 임무 현황이다.
7. 지구 관측 프로그램
일본은 섬나라이며 매년 태풍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기 역학 및 기후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따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및 그 전신 기관들은 지속적으로 지구 관측 위성을 개발하고 운영해 왔다.
일본 최초의 지구 관측 위성은 1987년과 1990년에 각각 발사된 MOS-1a와 MOS-1b였다. 그러나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일본 우주 개발 사업단(NASDA) 시절의 지구 관측 프로그램은 어려움을 겪었다. Adeos(미도리)와 Adeos 2(미도리 2) 위성이 각각 1996년과 2003년에 발사되었으나, 궤도 진입 후 약 10개월 만에 기술적 문제로 임무가 조기 종료되면서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JAXA는 2006년 1월, 첨단 육지 관측 위성(ALOS/Daichi)을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다이치는 재해 감시 등에 활용되었으며, 2002년에 발사된 고다마 데이터 중계 위성을 통해 지상 기지국과 통신했다. 다이치 위성은 설계 수명을 다하고 퇴역했으며, 후속 임무는 위험 분산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레이더 위성(ALOS-2)과 광학 위성(ALOS-3)으로 분리하여 추진되었다. 합성 개구 레이더(SAR)를 탑재한 ALOS-2는 2014년 5월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현재 임무를 수행 중이다. 그러나 광학 위성인 ALOS-3은 2023년 3월 신형 H3 로켓의 시험 발사 실패로 인해 소실되었다. ALOS-2의 SAR 후속 임무인 ALOS-4는 2024년 7월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으며, 소실된 ALOS-3의 후속 광학 위성은 2027년경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대기 및 강수 관측 분야에서는 NASA와의 협력이 두드러진다. 1997년, 열대 지역의 강우를 관측하기 위해 TRMM(열대 강우 관측 위성)을 공동으로 발사했다. TRMM의 성공적인 임무를 이어받아, 2014년 2월 28일에는 GPM 핵심 관측위성이 발사되었다. 이 위성은 전 지구적 강수 관측 네트워크(GPM)의 핵심으로, JAXA는 핵심 장비인 이중 주파수 강수 레이더(DPR)를 개발하여 탑재했다. GPM 위성은 전 세계의 강수량을 전례 없는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온실가스 관측 역시 중요한 분야이다. JAXA는 일본 환경성과 협력하여 2009년 GOSAT(온실 가스 관측 위성)을 발사했다. GOSAT은 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 분포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상 관측소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지역의 데이터를 제공하며, 메탄 등 다른 온실가스 관측 센서도 탑재하고 있다. 후속 위성인 GOSAT-2는 2018년 10월에 발사되어 현재 임무를 수행 중이다.
ADEOS II(미도리 2) 및 아쿠아 임무의 후속으로는 GCOM(Global Change Observation Mission) 지구 관측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임무를 여러 개의 소형 위성으로 나누어 위험을 줄이고 장기적인 관측을 목표로 한다. 첫 번째 위성인 GCOM-W(시즈쿠)는 2012년 5월에 발사되었고, 두 번째 위성인 GCOM-C(시키사이)는 2017년에 발사되어 현재 모두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JAXA는 초저고도 위성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하야부사 탐사선에 사용된 이온 엔진 기술을 응용하여, 저궤도(LEO)보다 훨씬 낮은 200km에서 300km 사이의 고도를 비행하며 고해상도(10cm~20cm급) 지구 관측을 수행할 수 있는 400kg급 소형 위성을 계획했다. 이 위성은 2013년 설계 완료 후 2016년 발사를 목표로 했었다. 관련 기술 실증을 위해 발사된 초저고도 위성 기술 시험기 츠바메는 2019년 12월, 지구 관측 위성으로는 가장 낮은 고도인 167.4km 비행 기록을 세워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84]
이 외에도 히마와리 6호(2005년 발사 성공)와 같은 기상 위성 운영을 통해 일본 및 주변 지역의 기상 예보와 감시에 기여하고 있다.
8. 기타 기관 위성
JAXA는 다양한 목적의 인공위성을 개발하고 운용하며 우주 과학 및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위성들은 다음과 같다.
위성명 | 종류 | 발사 연도 | 주요 임무 및 특징 | 비고 |
---|---|---|---|---|
MTSAT-1R (히마와리 6호) | 다목적 수송 위성 | 2005년 | 기상 관측, 항공 교통 관제 | H-IIA 로켓 7호기로 발사, 1999년 발사 실패한 MTSAT-1 대체. |
스자쿠 | X선 천문 위성 | 2005년 | X선 천문학 연구 | M-V 로켓으로 발사. |
다이치 | 육역 관측 위성 | 2006년 | 재해 감시, 지도 제작 등 | |
아카리 | 적외선 천문 위성 | 2006년 | 적외선 천문학 연구 | |
MTSAT-2 (히마와리 7호) | 다목적 수송 위성 | 2006년 | 기상 관측, 항공 교통 관제 (MTSAT-1R 백업) | 미쓰비시 전기 개발 DS2000 위성 버스 사용.[47] 1990년 미일 위성 조달 협정 이후 첫 국산 상업 위성 성공. |
히노데 | 태양 관측 위성 | 2006년 | 태양 활동 정밀 관측 | 2007년 사이언스지에 특집호 게재.[77] |
GPM Core Observatory | 기상 관측 위성 | 2014년 | 전지구 강수 관측 (GPM 프로젝트 핵심) | NASA와 공동 개발. 핵심 장비인 Ka/Ku 이중 주파수 대역 3차원 스캔 레이다는 일본 개발. 3시간마다 전 세계 강수량 정밀 측정. |
STARS-II | 기술 시험 위성 | 2014년 | 세계 최초 우주 쓰레기 제거 기술 실증 | 카가와 대학 공동 개발. 본체-자식 위성 구조. 로렌츠 힘을 이용해 우주 쓰레기 감속 및 대기권 추락 유도. 반복 작업 가능. GPM 위성과 함께 H-2A 로켓 23호기로 발사. |
TRICOM-1R | 초소형 위성 | 2018년 | SS-520 로켓 발사 성공 실증 | SS-520 로켓은 이 발사 성공으로 실제 위성을 궤도에 올린 가장 작은 로켓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 인정.[83] |
츠바메 | 기술 시험 위성 | 2017년 | 초저고도 위성 기술 시험 | 2019년 지구 관측 위성 궤도로서 가장 낮은 고도 167.4km 비행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 인정.[84] |
=== GPM Core Observatory ===
GPM Core Observatory는 NASA와 JAXA가 공동 개발한 레이다 기상관측위성으로, 전지구 실시간 강수 관측(GPM) 프로젝트의 핵심 위성이다. 핵심 장비인 Ka/Ku 이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3차원 스캔 듀얼 밴드 레이다는 일본이 개발했다. 이 레이다는 3시간마다 전 세계 상공의 구름 속 빗방울과 눈송이 크기를 측정하여 기존 어떤 기상 레이다보다 정확하게 강수 확률을 예측한다. 2014년 2월 27일 H-2A 로켓 23호기로 발사되었다.
=== STARS-II ===
STARS-II는 세계 최초의 우주 쓰레기 청소 기술 실증을 목표로 카가와 대학과 JAXA가 공동 개발한 위성이다. 본체 위성과 자식 위성이 300m 길이의 알루미늄 끈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자식 위성이 우주 쓰레기에 접근해 붙잡으면, 본체는 알루미늄 끈에 전류를 흘려보낸다. 이때 발생하는 로렌츠 힘으로 우주 쓰레기의 공전 속도를 줄여 대기권으로 추락시키는 방식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고도 800km에 있는 3~4톤급 쓰레기를 5개월 만에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전류 방향을 바꿔 궤도를 다시 높이고 태양광 패널로 재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다. STARS-II는 GPM Core Observatory와 함께 2014년 2월 27일 H-2A 로켓 23호기로 발사되었다.
=== 초저고도 위성 기술 ===
JAXA는 일반적인 저궤도(LEO, 약 500km)보다 훨씬 낮은 고도에서 운용 가능한 위성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하야부사 탐사선에 사용된 이온 엔진 기술을 응용하여 고도 200km에서 300km 사이를 비행하는 위성을 연구했다. 이러한 초저고도 위성은 400kg급 소형 위성이면서도 고도 이점을 활용해 해상도 10~20cm급의 정밀 지구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JAXA는 2013년 설계를 완료하고 2016년 발사를 목표로 했었다. 이후 기술 시험기인 츠바메가 2017년 발사되어 2019년 고도 167.4km 비행에 성공하며 관련 기술을 실증하고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84]
=== MTSAT 시리즈 ===
MTSAT 시리즈는 기상 관측과 항공 교통 관제를 위한 다목적 수송 위성이다. 1999년 H-2 로켓 발사 실패로 손실된 MTSAT-1을 대체하기 위해 2005년 2월 H-IIA 로켓 7호기로 MTSAT-1R (히마와리 6호) 발사에 성공했다. 이어서 2006년 2월에는 백업 위성인 MTSAT-2 (히마와리 7호)를 H-IIA 로켓으로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MTSAT-2는 미쓰비시 전기가 개발한 DS2000 위성 버스를 사용했으며[47], 1990년 미국과의 위성 조달 협정 이후 일본이 처음으로 성공시킨 국산 상업 위성이기도 하다.
=== 기타 과학 및 관측 위성 ===
JAXA는 특정 과학 연구 및 관측 임무를 위한 다양한 위성들을 운용해왔다.
- 스자쿠: 2005년 7월 M-V 로켓으로 발사된 X선 천문 위성으로, 일본이 강점을 보이는 X선 천문학 분야 연구에 기여했다.[76]
- 다이치: 2006년 1월 발사된 육역 관측 위성으로, 지도 제작 및 재해 감시 등에 활용되었다.
- 아카리: 2006년 2월 발사된 적외선 천문 위성으로, 우주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히노데: 2006년 발사된 태양 관측 위성으로, 태양 활동에 대한 새로운 발견들을 이끌어내 2007년 사이언스지에 특집호가 게재되기도 했다.[77]
- TRICOM-1R: 2018년 2월 SS-520 로켓 5호기로 발사된 초소형 위성이다. 이 발사 성공으로 SS-520 로켓은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린 가장 작은 로켓으로 2018년 4월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인정받았다.[83]
9. 유인 우주 프로그램
일본은 10명의 우주 비행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아직 자체적인 유인 우주선을 개발하지 않았으며 현재 공식적인 개발 계획도 없다. 과거 H-II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었던 잠재적 유인 우주 왕복선 HOPE-X 프로젝트가 수년간 개발되었으나( HYFLEX/OREX 프로토타입 시험 비행 포함) 연기되었고, 더 간단한 유인 캡슐 후지도 제안되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단일 궤도 진입, 수평 이착륙 재사용 발사체 ASSTS나 수직 이착륙 방식의 Kankoh-maru 프로젝트 역시 구상 단계에 머물렀다.
우주를 비행한 최초의 일본 시민은 1990년 12월 소련의 소유즈 TM-11을 타고 미르 우주 정거장으로 간 아키야마 도요히로이다. 그는 TBS가 후원한 언론인으로, 이 비행은 소련이 1400만달러를 벌어들일 수 있었던 첫 번째 상업 우주 비행으로 불렸다. 그는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7일 이상을 보냈다.
일본은 미국 및 국제 유인 우주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주로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을 이용하여 ISS로 자국의 우주 비행사를 보내고 있다. 1992년 9월 우주왕복선 임무 STS-47은 일본이 부분적으로 자금을 지원했으며, JAXA의 첫 우주 비행사인 모리 마모루가 유럽에서 제작된 스페이스랩 모듈 중 하나인 스페이스랩-J의 탑재체 전문가로 참여했다. 이 임무는 '일본'(Japan)으로도 불렸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세 차례의 NASA 우주 왕복선 임무(STS-123, STS-124, STS-127)를 통해 일본이 제작한 ISS 실험동 모듈인 키보가 ISS로 운반되어 성공적으로 조립되었다. 2008년부터 키보의 본격적인 운용이 시작되었다.
또한 2009년에는 H-IIB 로켓 발사와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HTV, 고우노토리)를 이용한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의 물자 수송에 성공하며, 1980년대부터 참여해 온 국제 우주 정거장 계획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처럼 일본은 우주왕복선과 소유즈를 활용하여 일본인 우주 비행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유인 달 착륙에 대한 일본의 계획은 개발 중이었으나 2010년 초 예산 제약으로 인해 보류되었다.[56] 2014년 6월, 일본 과학기술성은 화성에 대한 유인 임무를 포함한 우주 탐사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으며, 이를 위해 국제적인 협력과 지원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57] 2017년 10월에는 JAXA가 달 표면 아래에서 용암 동굴과 같은 지형을 발견했다고 발표하며, 이곳이 향후 평화적인 유인 우주 임무를 위한 기지 건설에 적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58] 2020년 8월에는 토요타 자동차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유인 달 표면 탐사 차량의 이름을 루나 크루저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10. 초음속 항공기 개발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H-IIA/B 및 엡실론 로켓 개발 외에도 초음속 수송기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이는 과거 상업 운항했던 콩코드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항공기 개발을 목표로 하며, 마하 수 2의 속도로 300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제트기 개발을 구상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차세대 초음속 수송기'라는 가칭으로 알려져 있다.
기술 검증을 위해 2005년에는 호주에서 축소 모형 항공기를 이용한 공기역학 테스트를 진행했으며[59], 같은 해 10월에는 소형 초음속 실험기 NEXST-1의 비행 실험에도 성공했다. 이후 2015년에는 D-SEND 프로그램을 통해 초음속 비행 시 발생하는 충격파(소닉 붐)를 줄이기 위한 기술 테스트를 수행했다.[60] 또한 JAXA는 저소닉 붐 초음속기 연구, 저소음·저공해 제트 엔진 연구, 스크램제트 엔진 기초 연구 등 관련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첨단 기술 개발 프로젝트의 경제적 성공 가능성은 아직 불확실하며, 이로 인해 미쓰비시 중공업과 같은 일본의 주요 항공우주 기업들은 아직 이 분야에 대해 제한적인 관심만 보이고 있다.
11. 조직
2003년 10월 1일, 일본의 우주 개발 관련 3개 기관인 문부과학성 소속 우주과학연구소(ISAS),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 그리고 우주개발사업단(NASDA)이 통합되어 독립 행정 법인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설립되었다. 이는 독립 행정 법인으로는 일본 최대 규모의 기관이다.[141] 설립 초기에는 문부과학성(MEXT)과 총무성(MIC)의 관리를 받았다.
우주 기본법이 2008년에 통과되면서 JAXA의 관할권은 문부과학성에서 내각의 우주 개발 전략 본부(SHSD)로 이관되었고, 이는 일본 내각총리대신이 직접 이끌게 되었다. 2012년에는 새로운 법률 개정을 통해 JAXA의 활동 범위가 기존의 평화적 목적에서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과 같은 일부 군사적 우주 개발까지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JAXA에 대한 정치적 통제권도 문부과학성에서 일본 총리의 내각부 산하 우주 전략 사무소로 이관되었다.
본부는 도쿄도 조후시의 구 항공우주기술연구소 부지에 위치하고 있다.
=== 조직 구성 ===
JAXA는 다음과 같은 주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 우주 기술 국 I
- 우주 기술 국 II
- 유인 우주 기술 국
- 연구 개발 국
- 항공 기술 국
- 우주과학연구소(ISAS)
- 우주 탐사 혁신 허브 센터 (TansaX)

=== 주요 임원 ===
직책 | 성명 | 비고 |
---|---|---|
이사장 | 야마카와 히로시 | 제4대 (2018년 4월 ~ 현재) |
부이사장 | 사노 히사시 | |
이사 | 후노 야스히로 | |
이사 | 테라다 히로지 | |
이사 | 사사키 히로시 | |
이사 | 쿠니나카 히토시 | |
이사 | 하리 가즈토시 | |
이사 | 이시이 야스오 | |
이사 | 오야마 마미 | |
감사 | 미야케 마사즈미 | |
감사 | 코바야시 요코 | 비상근 |
'''역대 이사장'''
- 초대 (2003년 10월 ~ 2004년 11월): 야마노우치 슈이치로 (전 일본국유철도 상무이사, 동일본여객철도 회장)
- 제2대 (2004년 11월 ~ 2013년 3월): 타치카와 케이지 (전 NTT 도코모 사장, 상담역)
- 제3대 (2013년 4월 ~ 2018년 4월): 오쿠무라 나오키 (전 신일본제철 부사장)
- 제4대 (2018년 4월 ~ 현재): 야마카와 히로시 (교토대학 교수)
=== 부서별 주요 역할 (2016년 3월 1일 기준)[104] ===
부서 구분 | 주요 역할 | 관련 구 기관 |
---|---|---|
관리 부문 | 경영 추진, 평가·감사, 총무, 인사, 재무, 조달, 시설 관리(쓰쿠바 우주 센터 관리부 포함), 홍보, 조사 국제 등 | - |
제1 우주 기술 부문 | H-IIA 로켓 등 로켓 발사 및 인공위성 시스템 연구 개발, 이용 촉진 | 구 우주 개발 사업단 |
제2 우주 기술 부문 | (상세 불명) | - |
유인 우주 기술 부문 |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일본 실험 모듈 "키보", 우주 스테이션 보급기(HTV) 등 유인 우주 시스템 연구 개발 및 이용 촉진 | - |
우주 탐사 이노베이션 허브 | 우주 탐사 관련 연구 및 실험 (우주 탐사 실험동 운영) | - |
우주과학연구소(ISAS) | 행성 탐사기, 천체 관측 위성, 공학 시험 위성 개발 및 운용. 종합연구대학원대학 참여 | 구 우주과학연구본부 |
항공 기술 부문 | 일본 항공 산업을 위한 항공 기술 연구 개발 | 구 항공우주기술연구소, 연구 개발 본부 항공 부문 |
연구 개발 부문 | 항공 우주 기술 기반 연구, 미래 기술 개발, 각 프로젝트 기술 지원 | 구 우주 개발 사업단 기술 개발 부문, 우주과학연구소 기술 연구 부문 |
=== 주요 시설 및 사무소 ===
JAXA는 일본 내 여러 지역에 연구 센터를 두고 있으며, 일부 해외 사무소도 운영하고 있다.
'''주요 국내 시설'''
시설명 | 위치 | 주요 기능 |
---|---|---|
본부 | 도쿄도 조후시 (조후 항공우주센터 부지 내) | 기관 총괄 |
도쿄 사무소 | 도쿄도 지요다구 (오차노미즈 소라시티 내) | 주무 관청 연락 조정, 위성 이용 운용 센터 |
지구 관측 연구 센터 (EORC) | 도쿄도 | 지구 관측 연구 |
지구 관측 센터 (EOC) | 사이타마현 하토야마시 | 지구 관측 데이터 수신 및 처리 |
노시로 시험 센터 (NTC) | 아키타현 노시로시 | 로켓 엔진 개발 및 시험 (1962년 설립) |
산리쿠 벌룬 센터 (SBC) |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 과학 관측용 대형 풍선 발사 (1971년~) |
가쿠다 우주 센터 (KSPC) | 미야기현 가쿠다시 | 로켓 엔진 개발 (주로 액체 연료 엔진) |
사가미하라 캠퍼스 (ISAS) |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 | 우주과학연구소 메인 캠퍼스, 로켓/위성 실험 장비 개발, 행정, 우주 교육 센터 운영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 H-IIA, H3 로켓 발사 기지 |
쓰쿠바 우주 센터 (TKSC) | 이바라키현 쓰쿠바시 | 일본 우주 네트워크 중심, 위성/로켓 연구 개발, 위성 추적 및 제어, 키보 실험 장비 개발, 우주 비행사 훈련, ISS 일본 비행 관제 (SSIPC)[61] |
우치노우라 우주 센터 | 가고시마현 기모츠키군 | 엡실론 로켓 발사 기지 |
조후 항공 우주 센터 | 도쿄도 조후시 | 항공 기술 연구 개발 (본부와 부지 공유) |
간사이 위성 오피스 |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 | 산학관 연계 오피스 |
나고야 공항 비행 연구 거점 | 아이치현 니시카스가이군 도요야마정 | 비행 실험 연구 거점 |
서일본 위성 방재 이용 연구 센터 | 야마구치현 우베시 (야마구치현 산업기술센터 내) | 위성 데이터 방재 활용 연구, 인재 육성 (2017년 설치)[105][106][107][108][109] |
'''해외 사무소'''
사무소명 | 위치 | 주요 기능 |
---|---|---|
워싱턴 주재원 사무소 | 미국 워싱턴 D.C. | NASA 등과의 연락 조정, 홍보 |
방콕 주재원 사무소 | 태국 방콕 | 태국 위성 수신국 기술 지원, 동남아시아 기관 연락 조정 |
파리 주재원 사무소 | 프랑스 파리 | 유럽 우주국(ESA)과의 연락 조정 |
케네디 우주 센터 주재원 사무소 | 미국 플로리다 주 | NASA 케네디 우주 센터 연락 조정 |
휴스턴 주재원 사무소 | 미국 텍사스 주 | NASA 존슨 우주 센터 연락 조정 |
과거에는 도쿄도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OAZO 내에 홍보 시설인 JAXA i를 운영했으나, 2010년 말 폐관했다.
12. 예산 및 인원
2010년(헤이세이 22년)도 우주 개발 예산을 기준으로 다른 선진국 우주 기관과 비교하면, NASA는 약 1.76조엔 (이와 비슷한 규모의 예산이 미국 국방부에서도 지출되어 2009년도 미국 전체 우주 개발 예산 총액은 약 4.6조엔에 달함[98]), ESA는 약 5018억엔 (2007년도 유럽 전체 우주 개발 예산 총액은 약 8000억엔[98])이다. 이에 비해 JAXA의 실질적인 예산액은 1800억엔으로, NASA의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99]。
이 1800억엔이라는 액수는 내각 관방 예산으로 개발되는 정보 수집 위성(IGS) 관련 JAXA 수탁 비용(매년 약 400억엔)을 제외한 금액이다. 이를 포함할 경우 JAXA의 예산은 약 2200억엔이 되며, 다른 성청의 예산까지 합한 일본의 우주 개발 예산 총액은 3390억엔이다[98]。
로켓 개발 비용 측면에서 보면, NASA의 델타 IV(개발비 2750억엔)와 아틀라스 V(개발비 2420억엔)는 기존 로켓을 개량하여 개발되었다. 반면 JAXA의 H-IIA와 H-IIB는 H-II를 기술적 기반으로 개량 개발되었는데, 두 기종의 개발비 합계액은 약 1802억엔으로, NASA의 개량형 로켓보다 약 1000억엔 정도 저렴하게 개발되었다[100]。
JAXA의 전신인 NASDA 시절 개발된 H-II의 경우, 모든 단을 새로 개발했음에도 개발비는 2700억엔이었다. 이는 마찬가지로 모든 단을 신규 개발한 ESA의 주력 로켓 아리안 5 시리즈의 개발비(약 8800억엔 ~ 9900억엔)와 비교했을 때 3분의 1 이하 수준이다[100]。
인력 규모를 비교하면, 미국은 약 4만 3,500명(NASA 약 1만 8,500명 + 미국 전략군 약 2만 5,000명), 유럽은 약 1만 195명(ESA 약 1,900명 + CNES 약 2,400명 + DLR 약 5,600명 + ASI 약 250명 + BNSC 약 45명), ISRO는 약 1만 3,600명이다. 이에 비해 JAXA의 인원은 1,571명으로 NASA의 10분의 1 이하 수준이다[99]。 JAXA 발족 이후 인원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101]。
13. 관련 기관
일본의 우주 개발 정책은 여러 부처에 나뉘어 있었으나, 2008년 우주 기본법 시행으로 내각에 우주 개발 전략 본부가 설치되어 정책을 통합하고 일원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본부장은 내각총리대신이며, 내각관방장관과 우주 정책 담당 대신이 부본부장을 맡는다. 이 본부는 일본 우주 개발의 기본 방침인 우주 기본 계획을 책정하며, JAXA를 포함한 일본 우주 기관의 장기적인 활동 계획을 제시한다.[131][132]
내각부에는 우주 정책 입안과 부처 간 조정을 담당하는 우주 개발 전략 추진 사무국이 있다. 이 사무국은 우주 개발 전략 본부의 사무 기능도 수행하며, 준천정 위성 시스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준천정 위성 시스템 전략실을 두고 있다.[133]
2012년 7월 이전까지 JAXA는 문부과학성 소속 우주 개발 위원회와 항공 과학 기술 위원회의 심의 및 평가를 받았다.[134][135] 그러나 우주 전략실(현 우주 개발 전략 추진 사무국) 발족과 함께 우주 개발 위원회는 폐지되었고, 내각부 산하에 우주 정책 위원회가 신설되었다. 이 위원회는 내각총리대신의 자문에 따라 우주 개발 계획의 타당성을 심의하고 관련 기관에 권고하는 역할을 한다.[136]
또한, JAXA는 소관 부처인 총무성,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산하의 국립 연구 개발 법인 심의회 우주 항공 연구 개발 기구 부회 및 내각부 우주 정책 위원회 산하 국립 연구 개발 법인 우주 항공 연구 개발 기구 분과회 등의 심의와 평가도 받는다.[137][138][139]
JAXA와 관련된 주요 단체 및 기업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명칭 |
---|---|
재단법인 | 일본 우주소년단 (YAC) |
재단법인 | 일본 우주 포럼 (JSF) |
재단법인 | 원격 감지 기술 센터 (RESTEC) |
NPO법인 | 일본 스페이스 가드 협회 (JSGA) |
사단법인 | 일본 항공우주공학회 |
사단법인 | 일본 항공공학회 |
사단법인 | 일본 우주공학회 |
연계 기구 | 우주 개발 협의회 (산관학 연계 기구) |
기업 | 갤럭시 익스프레스 (도산) |
기업 | IHI 에어로스페이스 |
기업 | 교세라 |
기업 | 미쓰비시 중공업 |
기업 | 우주 개발 협동조합 SOHLA |
기업 | NEC |
기업 | 일본 비행기 |
기업 | 일본 항공 전자 공업 |
기업 | 메이세이 전기 |
기타 | 일본행성협회 |
참조
[1]
웹사이트
Transition
https://www.jaxa.jp/[...]
[2]
뉴스
Japan launches biggest moon mission since Apollo landings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science
2007-09-15
[3]
웹사이트
JAXA – Keiji Tachikawa – JAXA in 2006 -
http://www.jaxa.jp/a[...]
2015-06-12
[4]
웹사이트
JAXA – New JAXA Philosophy and Corporate Slogan
http://www.jaxa.jp/p[...]
2015-06-12
[5]
웹사이트
Law Concerning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http://www.jaxa.jp/a[...]
JAXA
2010-04-20
[6]
뉴스
Japan a low-key player in space race
http://search.japant[...]
Japan Times
2009-06-30
[7]
문서
An overview of Japan's space activities
http://www.spacetech[...]
2018-08-14
[8]
웹사이트
Symposium Awards | National Space Symposium
http://www.nationals[...]
2012-01-31
[9]
뉴스
Japan Passes Law Permitting Military Space Development
http://www.defensene[...]
2012-06-22
[10]
뉴스
History and Prospect of Liquid Rocket Engine Development in Japan
https://www.jstage.j[...]
J Stage
null
[11]
뉴스
H2Aロケット48号機打ち上げ成功 情報収集衛星を搭載
https://www.nikkei.c[...]
Nikkei
2024-01-12
[12]
뉴스
"こうのとり"ミッションの集大成、そして未来へバトンをつないだ最終号機
https://news.mynavi.[...]
Mynavi Corporation
2020-09-09
[13]
뉴스
JAXA fails in bid to launch world's smallest satellite-carrying rocket
http://www.japantime[...]
2017-01-15
[14]
뉴스
Souped-up sounding rocket lifts off from Japan with tiny satellite
https://spaceflightn[...]
2018-02-02
[15]
뉴스
新型基幹ロケット「H3」の挑戦 1/5
http://news.mynavi.j[...]
Mynavi Corporation
2015-07-15
[16]
뉴스
新型基幹ロケット「H3」の挑戦 2/5
http://news.mynavi.j[...]
Mynavi Corporation
2015-07-22
[17]
간행물
新型基幹ロケットの開発状況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15-07-02
[18]
문서
Agency's Report from ISAS/JAXA to ILWS WG meeting
http://ilwsonline.or[...]
Living With a Star
2006-07-23
[19]
뉴스
次に目指す高みとは…はやぶさ2が切り開いた宇宙開発の未来/下.
https://web.archive.[...]
Mainichi Shimbun
2022-07-24
[20]
간행물
JCN Newswire | Asia Press Release Distribution
https://www.jcnnewsw[...]
2022-12-20
[21]
뉴스
Japan launches first lunar probe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9-14
[22]
웹사이트
Japan announces successful SLIM lunar landing, fifth country to reach moon's surface
https://www.cnbc.com[...]
2024-01-19
[23]
뉴스
Japan Becomes Fifth Country to Land on the Mo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1-19
[24]
뉴스
月面探査機 JAXA 世界初の「ピンポイント着陸」に成功と発表.
https://web.archive.[...]
NHK
2024-01-25
[25]
뉴스
Japan Explains How It Made an Upside-Down Moon Landin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1-25
[26]
뉴스
Japan's Slim spacecraft lands on moon but struggles to generate pow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1-19
[27]
Citation
小型月着陸実証機(SLIM)および小型プローブ(LEV)の月面着陸の結果・成果等 の記者会見
https://www.youtube.[...]
2024-01-24
[28]
웹사이트
Japan's moon lander forced to power down but may yet be revived
https://spacenews.co[...]
2024-01-22
[29]
웹사이트
SLIM Project Press Kit
https://global.jaxa.[...]
[30]
뉴스
Japan: Moon lander Slim comes back to life and resumes mission
https://www.bbc.com/[...]
2024-01-29
[31]
웹사이트
Last night I sent a command and got a response from SLIM. SLIM successfully survived the night on the lunar surface while maintaining communication capabilities! Last night, as it was still midday on the moon, the temperature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was extremely high, so communication was terminated after only a short period of time. From now on, preparations will be made so that observations can be resumed once the temperature has fallen sufficiently.
https://twitter.com/[...]
[32]
웹사이트
JAXA plans probe to bring back samples from moons of Mars
https://www.japantim[...]
2015-06-10
[33]
웹사이트
ISASニュース 2016.1 No.418
http://www.isas.jaxa[...]
Institute of Space and Astronautical Science
2016-01-22
[34]
뉴스
JAXAの「火星の衛星からのサンプル・リターン」計画とは
http://news.mynavi.j[...]
2015-06-19
[35]
웹사이트
高時間分解能観測がひらく火星ダスト・水循環の科学
https://www.cps-jp.o[...]
Center for Planetary Science
2015-08-28
[36]
웹사이트
MMX – Martian Moons eXploration
https://www.mmx.jaxa[...]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2023-12-26
[37]
뉴스
イカロス、世界初の宇宙ヨットでギネス認定.
https://web.archive.[...]
Nikkei
2012-12-06
[38]
웹사이트
Akari
https://nssdc.gsfc.n[...]
NSSDCA
[39]
웹사이트
JAXA – Takao Nakagawa – Dramatic Birth and Death of Stars -
http://www.jaxa.jp/a[...]
2007-09-01
[40]
웹사이트
MAXI:Experiment –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JAXA
http://iss.sfo.jaxa.[...]
2013-05-21
[41]
웹사이트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of Japan (NAOJ)
http://solar-b.nao.a[...]
2012-03-22
[42]
웹사이트
SSL Redirect... please wait
http://solar-b.msfc.[...]
[43]
웹사이트
JAXA {{!}} Laser Link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Kibo Cooperative Research Agreement by JAXA, Sony CSL and Sony
http://global.jaxa.j[...]
[44]
웹사이트
I-Space Web Site – i-Space-
http://i-space.jaxa.[...]
2008-12-25
[45]
간행물
Launch Result of the KIZUNA (WINDS) by the H-IIA Launch Vehicle No. 14 (H-IIA F14)
https://global.jaxa.[...]
JAXA
2008-02-23
[46]
간행물
超高速インターネット衛星「きずな」(WINDS)の運用終了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19-03-01
[47]
웹사이트
製品のご紹介製品・衛星プラットフォーム/DS2000
http://www.mitsubish[...]
Mitsubishi Electric
2008-08-22
[48]
웹사이트
Kenya's first satellite is now in Earth orbit
https://www.technolo[...]
2018-05-11
[49]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程表 (令和5年度改訂)
https://www8.cao.go.[...]
Cabinet Office
2023-12-22
[50]
웹사이트
NASA Approves Heliophysics Missions to Explore Sun, Earth's Aurora {{!}} Next-generation solar-observing satellite Solar-C_EUVST
https://solar-c.nao.[...]
[51]
웹사이트
NASA Approves Heliophysics Missions to Explore Sun, Aurora
http://www.nasa.gov/[...]
2020-12-29
[52]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Universe will be unveiled by the LiteBIRD cryogenic satellite
https://www.d-sbt.fr[...]
2023-07-03
[53]
웹사이트
Plasma/particle instruments and Japan-Taiwan collaboration for the Geospace magnetosphere/ionosphere
http://www.pssc.ncku[...]
2012-07-12
[54]
웹사이트
軟X線から硬X線の広帯域を高感度で撮像分光する小型衛星計画
https://repository.e[...]
JAXA
2016-01-01
[55]
웹사이트
Japan eyes solar station in space as new energy source
http://www.physorg.c[...]
Physorg.com
2009-11-08
[56]
웹사이트
- Bloomberg
https://www.bloomber[...]
[57]
뉴스
Japanese hope to build on Mars
http://www.thetokyon[...]
The Tokyo News.Net
[58]
웹사이트
Kaguya data suggest large cavity inside moon – News – NHK WORLD – English
https://www3.nhk.or.[...]
[59]
뉴스
Supersonic jet test hailed a success
https://www.smh.com.[...]
Sydney Morning Herald
2005-10-10
[60]
웹사이트
D-SEND#2試験サイト JAXA航空技術部門
https://www.aero.jax[...]
[61]
웹사이트
ISS On-Orbit Status 04/23/09
https://www.nasa.gov[...]
NASA
2009-04-24
[62]
웹사이트
JAXA Usuda Deep Space Center
https://global.jaxa.[...]
[63]
웹사이트
Space Systems: 64m Parabolic Antenna for Usuda Deep Space Center – MITSUBISHI ELECTRIC
http://www.mitsubish[...]
[64]
웹사이트
NHK
https://www3.nhk.or.[...]
2021-07-19
[65]
웹사이트
三菱電機 美笹深宇宙探査用地上局(Great)
http://www.mitsubish[...]
[66]
웹사이트
JAXA GREAT, Ground Station for Deep Space Exploration and Telecommunication
https://global.jaxa.[...]
[67]
웹사이트
JAXA Launch of the Misasa Deep Space Station's GREAT2 Project
https://global.jaxa.[...]
[68]
웹사이트
Misasa Deep Space Station
https://www.isas.jax[...]
[69]
웹사이트
JAXA|Space Tracking and Communications Center Home Page
https://track.sfo.ja[...]
[70]
웹사이트
NASA Applauds Akatsuki's Successful Rendezvous with Venus
https://www.nasa.gov[...]
2015-12-09
[71]
웹사이트
Event -MDSS-
https://www.isas.jax[...]
[72]
문서
X/Ka (8.4/32 GHz) Celestial Frame: Roadmap to the future
https://syrte.obspm.[...]
[73]
문서
https://www.jaxa.jp/[...]
[74]
문서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の初代理事長決定
https://www.aero.jax[...]
[75]
문서
日本の宇宙開発の歴史 21世紀
https://web.archive.[...]
JAXA情報センター
[76]
문서
世界をリードする日本の天文学
https://www.jaxa.jp/[...]
JAXA
[77]
문서
「ひので」の成果が、科学雑誌「サイエンス」の特集と表紙に!
https://www.astroart[...]
Astro Arts
[78]
문서
科学誌「サイエンス」が「かぐや」特集号を発行
https://www.astroart[...]
Astro Arts
[79]
문서
「はやぶさ」ギネス世界記録に認定
https://www.isas.jax[...]
JAXA
[80]
뉴스
世界初の宇宙ヨット JAXA「イカロス」、ギネス認定
https://web.archive.[...]
2020-01-11
[81]
웹사이트
打ち上げ成功おめでとう! H-IIAロケット29号機、通信衛星「テルスター12ヴァンテージ」の打ち上げに成功
https://sorae.info/0[...]
sorae.jp
2015-12-09
[82]
문서
「あかつき」軌道投入成功、日本初の惑星探査へ
https://www.nikkei.c[...]
JAXA
2015-12-09
[83]
문서
SS-520 5号機がギネス世界記録(R)に認定されました
https://www.jaxa.jp/[...]
JAXA
2018-04-27
[84]
문서
世界最低高度で飛行 JAXAの地球観測衛星がギネス認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12-24
[85]
문서
月面探査機 JAXA 世界初の「ピンポイント着陸」に成功と発表
https://web.archive.[...]
NHK
2024-01-25
[86]
웹사이트
「H3」2号機打ち上げ、衛星分離に成功 30年ぶり国産新型
https://mainichi.jp/[...]
2024-02-17
[87]
문서
平成23年 世界の宇宙インフラデータブック ロケット編
http://www.sjac.or.j[...]
社団法人 日本宇宙航空工業会
[88]
뉴스
「H-IIA」ロケット、インマルサット衛星「Inmarsat-6」初号機の打ち上げ契約 2020年予定
https://sorae.info/0[...]
sorae.jp
2017-09-13
[89]
웹사이트
JAXA「イプシロンロケット」6号機打ち上げ失敗 ロケットに指令破壊信号送信
https://sorae.info/s[...]
sorae
2022-10-12
[90]
뉴스
H3ロケット打ち上げ失敗 2段目が点火せず JAXAは原因究明へ
https://web.archive.[...]
[91]
웹사이트
宇宙基本計画工程表(令和6年度改訂)
https://www8.cao.go.[...]
2024-12-24
[92]
웹사이트
「きぼう」や「HTV-X」が拓く次のステージ
https://www.jaxa.jp/[...]
JAXA
2024-12-27
[93]
웹사이트
JAXA INTERNATIONAL SPACE EXPLORATION
https://www.explorat[...]
JAXA
2024-12-27
[94]
웹사이트
太陽系と宇宙の起源の解明に向けて
https://www.jaxa.jp/[...]
JAXA
2024-12-27
[95]
웹사이트
人工衛星で宇宙から地球を守る・利用する
https://www.jaxa.jp/[...]
JAXA
2024-12-27
[96]
웹사이트
プロジェクトの系譜
https://www.jaxa.jp/[...]
JAXA
2024-12-27
[97]
문서
[98]
웹사이트
第8回:「はやぶさ」で脚光!日本の宇宙予算は「3390億円」
https://web.archive.[...]
日本生命保険
2020-01-11
[99]
문서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の事業と今後の課題について 平成22年3月16日
https://www.kantei.g[...]
[100]
문서
わが国の宇宙輸送系の現状と今後の方向性 平成23年2月24日
https://www.kantei.g[...]
首相官邸公式サイト 宇宙開発戦略本部)
[101]
보고서
社会環境報告書2010
https://www.jaxa.jp/[...]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20-01-11
[102]
웹사이트
役員図
https://www.jaxa.jp/[...]
JAXA
2020-07-23
[103]
뉴스
JAXA理事長に山川氏起用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9-09
[104]
웹사이트
組織図
https://www.jaxa.jp/[...]
JAXA
2016-03-06
[105]
웹사이트
おいでませ知事室 JAXAが山口県にやって来ました! - 山口県ホームページ
https://www.pref.yam[...]
2023-03-16
[106]
웹사이트
JAXA {{!}} 西日本衛星防災利用研究センター
https://www.jaxa.jp/[...]
2023-03-16
[107]
웹사이트
JAXAの衛星データ活用、山口県など利用協定 防災などで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2023-03-16
[108]
웹사이트
事業概要
https://earth.jaxa.j[...]
2023-03-16
[109]
웹사이트
S-NET 特集FRONT RUNNER 衛星データの活用に取り組む、「山口県モデル」とは?山口県 / 株式会社アグリライト研究所 / 農事組合法人二島西
https://s-net.space/[...]
2023-03-16
[110]
웹사이트
JAXA {{!}} 上斎原スペースガードセンター
https://www.jaxa.jp/[...]
2023-03-16
[111]
웹사이트
JAXA|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追跡ネットワーク技術センター
https://track.sfo.ja[...]
2023-03-16
[112]
웹사이트
JAXA {{!}} 宇宙状況把握(SSA)システム
https://www.jaxa.jp/[...]
2023-03-16
[113]
웹사이트
JAXA {{!}} 美星スペースガードセンター
https://www.jaxa.jp/[...]
2023-03-16
[114]
웹사이트
JAXA|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追跡ネットワーク技術センター
https://track.sfo.ja[...]
2023-03-16
[115]
뉴스
JAXAのパソコンにウイルス、「こうのとり」の情報などが漏洩の恐れ
https://xtech.nikkei[...]
It pro
2012-01-16
[116]
뉴스
のウイルス感染は標的型メールの疑い、NASA関連の情報も漏えい
https://www.itmedia.[...]
ITmedia
2012-01-13
[117]
뉴스
宇宙機構でPCウイルス感染 ロケットの情報漏洩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11-30
[118]
뉴스
三菱重工でもウイルス感染 宇宙関連情報、漏洩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11-30
[119]
뉴스
JAXAウイルス感染原因は震災メール
https://web.archive.[...]
NHKニュース
2013-02-20
[120]
뉴스
JAXAにまた不正アクセス
http://www3.nhk.or.j[...]
日本放送協会
2013-04-23
[121]
뉴스
きぼう情報流出か…JAXAに不正アクセス、国内と中国から接続。運用には支障なし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3-04-23
[122]
웹사이트
JAXAなどにサイバー攻撃か 中国共産党員を書類送検
https://www.nikkei.c[...]
2021-04-20
[123]
웹사이트
JAXAに複数回サイバー攻撃、機密流出か NASA、トヨタ情報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6-21
[124]
웹사이트
JAXAに複数回サイバー攻撃 情報が漏えいした可能性
https://www3.nhk.or.[...]
NHK
2024-06-21
[125]
뉴스
JAXA職員が架空発注で97万円だまし取る 詐欺容疑で逮捕 宮城県警
https://web.archive.[...]
2013-05-14
[126]
뉴스
JAXA元職員、研究開発業務の偽装発注で賠償命令
https://web.archive.[...]
2019-01-28
[127]
문서
半年かけ完成 白山神社や恐竜など8作品
https://www.chunichi[...]
[128]
문서
裏方から表舞台へ!産地と消費者を繋ぐ ものづくり商品を生み出す、クリエイティブ思考のプラットフォーム「勝山工ふ房(カツヤマコフボウ)」設立
https://prtimes.jp/m[...]
[129]
문서
SUPER-OMEGA-ULTRA-ELITE-DELUXE aerospace logo tournament
https://x.com/Tygget[...]
[130]
문서
JAXAのイメージソング
https://web.archive.[...]
[131]
뉴스
内閣府と内閣官房の業務見直し、4つの組織を廃止 行革会議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01-26
[132]
문서
内閣府ホーム > 宇宙政策
https://www8.cao.go.[...]
[133]
문서
内閣府ホーム > 組織・制度 > 内閣府について > 幹部名簿
https://www.cao.go.j[...]
[134]
문서
文部科学省:宇宙開発委員会のページ
https://web.archive.[...]
[135]
문서
文部科学省:航空科学技術委員会のページ
https://www.mext.go.[...]
[136]
문서
第7回宇宙開発戦略本部資料
https://www8.cao.go.[...]
宇宙開発戦略本部
[137]
웹사이트
宇宙開発利用部会(第8期)の調査審議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6-04-19
[138]
웹사이트
航空科学技術に関する研究開発の推進のためのロードマップ(2013)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3-06-21
[139]
웹사이트
平成26年度業務実績評価の進め方について
https://www8.cao.go.[...]
宇宙政策委員会
[140]
웹인용
IV. 決算報告書 (Balance Report)
http://www.jaxa.jp/a[...]
JAXA
2006-08-30
[141]
웹인용
인공위성연구소(SaTRec) - Satellite Technology Research Lab
https://satrec.kaist[...]
2024-01-20
[142]
웹인용
日 탐사선 세계 5번째로 달 착륙 성공...태양광 패널엔 '문제'
https://www.ytn.co.k[...]
2024-01-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